NOTICE

고객의 성공을 위해 새로운 문을 열어가는 (주) 대성문

기장군으로, 동래구로… 너도나도 좋은 학군 쫓아 '대이동'

작성일 2017.03.02조회수 1026작성자 (주)대성문

결국 신(新)맹모삼천지교다. 부산 초·중 학령인구는 학력을 쫓아 이동했다. 대체로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낮은 데서 높은 데로 움직였다. 그러나 동부산권과 서부산·원도심권의 이동 동선이 달랐다. 서부산·원도심권 학령인구는 학력 수준이 나은 이웃 마을이나 동부산권으로 떠난 반면, 동부산권은 동부산권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신맹모삼천지교는 부산 학령인구 지형도도 바꿨다. 서부산·원도심권 학령인구는 계속 줄고, 동부산권은 느는 추세였다. 저출산 못잖게 학력격차가 서부산·원도심권 학령인구 공동화를 부채질하는 셈. 이 때문에 복지계와 교육계는 학력격차 해소를 부산 균형발전의 선결과제라고 입을 모은다. 학력격차→학령인구 유출→마을 공동화→교육 인프라 위축→마을 동력 상실→부산 불균형 발전으로 이어져서다.

 

서부산권 학령인구 줄고 
동부산권 늘어나는 추세 
사상·사하·영도 많이 줄어 

부산 동-서 균형 발전 위해 
구군별 학력격차 해소 절실

 

■떠나는 아이들

 

"아내 성화도 있었지만 아이 장래를 보고 동래구로 이사했죠."

지난해까지 10년간 영도구 봉래동에 살았던 A 씨는 지난해 11월 집을 온천동으로 옮겼다. 올해 중학생이 된 아들을 위해서다. 직장이 영도구인 관계로 출퇴근 시간이 늘어났지만 어쩔 수 없었단다. 이왕이면 아들을 잘 가르치는 학교에 보내고 싶은 마음이 컸다. 특히 A 씨 부인의 얘기가 그런 결심을 재촉했다. "아들 친구 엄마들이 경제력이 되면 동부산권으로 가야 한다는 얘기를 많이 한답니다. 학력격차가 엄연한 현실에서 영도구보다 동래구가 아들 미래에 더 도움이 되지 않겠어요."

 

연제구 거제동에 살다가 지난해 금정구로 이사 한 40대 후반 가정주부 B 씨도 마찬가지다. 첫째는 대학생이라 상관없지만, 둘째가 올해 고등학교로 진학할 예정이어서 거주지를 옮긴 경우다. "이사할 곳으로 인접 마을인 북구나 사상구는 애시당초 고려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해운대구와 금정구를 눈여겨보다 남편 직장까지 감안해서 금정구로 이동했죠."

 

통상 이사 요인으로는 세 가지가 꼽힌다. 학군, 직장·주거지 거리, 집값 변화다. 하지만 학령기 자녀를 둔 부산 학부모들에겐 학군이 절대적 변수다. 새 아파트를 분양할 때 건설사들이 홍보 문건으로 늘 우수한 학군을 빼놓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난달 27~28일 동의대 부동산·도시재생연구소가 실시한 긴급 설문은 그런 경향을 분명히 보여준다. 대상은 공인중개사를 하는 부동산학 박사 24명이었다. 학부모의 가장 중요한 이사 요인으로 75%가 우수 학군을 지목했다. 학부모가 선호하는 지자체로는 동래구(45%)와 해운대구(37%)가 압도적이었는데, 교육 환경이 좋아서라는 답변이 주를 이뤘다. 이들이 학부모에게 추천하는 거주지는 동부산권 일색이었다. 해운대구(41%), 동래구(25), 남구(16%) 순이었다.

 

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강정규 교수는 "서병수 부산시장이 '서부산권 시대'를 외치지만 학부모 입장에선 그래도 동부산권을 되뇐다"며 "동·서부산 간 학력격차가 부산 인구를 재편하는 핵심 요소라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권역별 이동 패턴도 대조

 

행정자치부의 2010~2014년 5년 치 부산 만 5~14세 학령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동부산권 쏠림은 확연했다. 부산 16개 구·군 간 학령인구 전출·전입이 조사 대상이었다.

 

5년간 학령인구가 늘어난 지자체는 기장군 4341명, 동래구 2214명, 강서구 1430명, 금정구 846명, 연제구 116명이었다. 강서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부권이다. 그러나 학령인구가 감소한 지자체는 사상구(2110명), 사하구(1857명), 부산진구(1578명), 영도구(1011명), 동구(467명)로 나타났다.

이동 동선은 권역 간에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동부산권은 권역 내에서 학령인구가 이동했다. 해운대구 학령인구가 이사간 데는 기장군(3071명), 동래구(1798명), 수영구(1125명)가 1~3위를 차지했다. 동래구 학령인구 전출지는 연제구(1694명), 금정구(1586명), 해운대구(1485명) 순이었다. 수영구도 다를 바 없었다.

 

서부산·원도심권 학령인구는 권역 이탈이 두드러졌다. 부산진구 학령인구가 이사한 데는 연제구(1484명), 동래구(1325명), 사상구(1226명), 해운대구(935명), 남구(933명) 순이었다. 영도구의 경우 사하구(326명), 서구(314명), 남구(245명)였다.

 

사회복지연대 김경일 간사는 "서부산·원도심권 학령인구는 사하구와 북구로 갔다가 동부산권으로 넘어가는 경향을 보였다"면서 "학령인구 동선은 학업성취도나 향상도가 상대적으로 좋은 데로 움직였다"고 전한다.

 

실제로 학교가 학생을 잘 가르쳤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2013~2016년 향상도를 보자. 국어·수학·영어 4년 치 부산 전체 향상도 평균치는 각각 0.04%, 0.23%, -0.76%였는데 동래구 부산진구, 해운대구, 남구, 연제구, 금정구가 모두 평균치를 상회했다.

 

복지계와 교육계는 부산시가 서부산권 시대 개막을 선언했지만 학력격차 해소 없이는 학령인구의 동부산권 편중을 막기 어렵다고 말한다. 지역사회가 학력격차를 줄여 서부산·원동심권 학령인구 공동화 흐름을 끊어야 한다는 것.

 

부산교대 성병창 교수는 "아이가 줄고 학교가 사라지면 그 마을의 교육 인프라와 문화공간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 학력격차가 비단 부산시교육청의 문제가 아니라 부산시와 16개 구·군이 함께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한다.